콘텐츠목차

삼포 왜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5011
한자 三浦倭亂
이칭/별칭 경오 왜변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제장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510년 4월 4일연표보기 - 삼포 왜란 발발
종결 시기/일시 1510년 4월 20일연표보기 - 삼포 왜란 종결
특기 사항 시기/일시 1512년 - 임신약조 체결

[정의]

1510년(중종 5) 4월 삼포[제포, 부산포, 염포]에서 일어난 일본인 거류민의 폭동 사건.

[개설]

1510년(중종 5) 4월 삼포의 일본인들이 대마도 일본인들의 내원을 얻어 대마도 소오씨의 군사를 중심으로 한 4,000~5,000명의 병력으로 폭동을 일으켜 한때는 제포, 부산포를 함락시키고 웅천의 방비 장병을 격파하였으나 얼마 후 조선군의 반격을 받아 대패하고 삼포의 일본인 거류민도 추방되었다.

[역사적 배경]

삼포 왜란의 직접적 요인은 성종대 이래의 엄격한 교역 통제책과 연산군대 운영상의 모순에 대한 일본인, 특히 대마도인들의 불만이었다. 즉 연산군의 실정에 의해 조선 정부의 재정 상태가 악화되자 통교 왜인에 대한 접대가 부실해졌고, 이와 함께 변방을 지키는 관리들의 횡포와 접대 위반 사례가 빈발하자 왜인들의 불만이 높아졌던 것이다. 이에 따라 연산군 대에 이미 왜선의 해적 행위와 삼포 항거 왜인에 의한 방화 사건이 일어나고 있었다. 1506년(중종 1) 정부는 통교와 접대를 계해 약조대로 환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재정 상태 악화와 접대 비용 과다로 인해 4년 후에는 다시 긴축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다. 조선 측의 엄격한 통제에 따라 통교 왜인들의 저항도 거세게 일어났는데 조정에서는 미봉책으로 대응하였다. 이와 같이 삼포 왜란의 근본적인 원인은 조선 정부의 대일 정책이 일관성과 엄격성을 결여한 데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삼포 항거왜인들의 기동성과 무력을 겸비한 조직을 들 수 있다. 세종 초기에는 60호에 불과하던 항거 왜인의 숫자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세조, 성종 대에는 400호를 넘었다. 주기적으로 송환하였지만 계속 늘어나자 결국 ‘왜리’라는 거주 지역을 설정하여 살도록 해주었다. 여기에는 각 포소마다 추장이 있고, 그 위에 수직인인 ‘삼포 통치자’를 총 책임자로 통제하는 행정적인 조직망을 갖추고 있었다. 이들이 대마도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삼포 왜란을 일으키면서 대마도의 조종과 삼포 항거 왜인들의 조직력과 기동성이 발휘되었다.

삼포에는 거류 왜인을 총괄하는 그들의 책임자가 있어서 일정한 조직 체계 아래에서 활동하였다. 대마도주는 이들 조직체를 통해 공물로 면포를 받아가는 일까지 있었다. 조선 조정에서는 세종 때부터 그들의 토지 경작에 대한 수세론(收稅論)이 논의되다가 1494년(성종 25)에 이르러 거류 왜인의 경전(耕田)에 대해 수세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회유책의 일환으로 면세 혜택을 베풀었다. 그 과정에서 이러한 관용책을 악용하는 왜인들의 법규 위반 사태가 빈번히 일어났고 연산군 대를 거치면서 그 도가 절정에 달하였다. 이에 1506년(중종 1) 중종은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왜인에 대해 엄한 통제를 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앞에서 살펴본 몇 가지 왜구들의 도발 사례가 발생하였고 결국 삼포 왜란이라는 대규모 왜인 폭동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경과]

왜인들은 부산 첨사 이우증을 살해한 뒤 각 포의 선박을 모두 불태우고 철수하는 한편 대마도주는 요구 조건을 내걸고 화호를 요청하였다.

1510년(중종 5) 4월 4일 삼포 왜란이 일어났다. 제포의 항거 왜추(恒居倭酋)인 오바리시[大趙馬道]와 야쓰코[奴古守長] 등이 대마도주의 아들 소[宗盛弘]를 대장으로 삼아 4,000~5,000명의 난도(亂徒)들을 이끌고 부산을 공격하여 첨사(僉使) 이우증(李友曾)을 살해하였다. 또 제포를 공격하여 첨사 김세균(金世鈞)을 납치한 뒤 웅천과 동래를 포위, 공격함으로써 삼포 왜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전 절도사(前節度使) 황형(黃衡)과 전 방어사(前防禦使) 유담년(柳聃年)을 각각 경상좌도·경상우도 방어사로 삼아 5,000여 명의 진압군을 삼포로 보내어 이들을 진압하게 하였다. 그 결과 소는 피살되고 삼포 거류의 왜인들은 모두 대마도로 도주하여 난은 평정되었다.

[결과]

삼포 왜란은 15일 만에 진압되었지만 전투 결과 조선 측 피살자가 272명, 민가 796호가 불탔으며, 왜인 측은 선박 5척과 295명이 참살되었다. 삼포 왜란이 발생하자 조선 정부는 즉시 대마도와의 통교를 중단시켰다. 난이 진압된 지 1년 후 막부 측에서 국왕사 붕중(弸中)을 파견하여 강화안을 제시하며 대마도와의 통교 재개를 요청하였다. 조정에서는 대일 통교 단절이라는 강경론도 나왔으나 결국 조건부로 화의 제의에 응하였다. 한편 붕중을 매개로 한 강화 교섭 중 대마도주가 주모자의 참수래헌, 피로인 송환 등 조선 측의 요구 조건을 이행하자 조선 정부는 왜란 2년 후인 1512년(중종 7)에 임신약조를 체결하고 교역의 재개를 허락하였다.

[의의와 평가]

삼포 왜란은 계해약조 이후 지속되었던 조선 초기 이래의 대일 통교 체제의 모순이 폭발한 사건이다. 조선 정부는 일본 및 대마도와의 역사적, 지리적 관계에 대한 고려와 북방 야인들의 움직임에 대한 우려 때문에 통교 단절은 하지 않았지만 삼포 왜란은 조선 초기의 대일 통교 질서가 허물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으로 삼포 왜란의 주 발생지인 제포가 그 만큼 왜인들의 활동에 중요한 거점이었고, 당시 조선의 대왜구 정책의 실상을 알려준 대표적 사건이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