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6049 |
---|---|
한자 | 海東筆藪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원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0년 10월 14일 - 해동필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39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해동필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1월 24일 - 해동필수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
현 소장처 |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
출토|발견지 |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
성격 | 필사본 |
작가 | 배대유 외 28인 |
소유자 | 한마 학원 |
관리자 | 경남 대학교 박물관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유묵첩.
[개설]
해동필수(海東筆藪)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에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기증 받아 동 대학의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해동필수는 그 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3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해동필수의 크기는 35㎝×26㎝이다. 전체 쪽수 58쪽이며 보관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첩에는 모정(慕亭) 배대유(裵大維)[1563~?], 이천(梨川) 홍중보(洪重普)[1612~1671], 이암(㶊庵) 송인(宋寅)[1546~1598]을 비롯한 28명의 유묵 38점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필수에 실린 사람들의 시대적 분포는 신라 시대의 김생(金生)[711~791]으로부터 고려 시대 말의 인물인 행촌(杏村) 이암(李嵒)[1297~1364], 그리고 조선 전기의 인물인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1493~1564]으로부터 17세기의 인물인 백석(白石) 박태유(朴泰維)[1648~1686]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서첩에 실린 인물의 배열에는 생몰년에 상관없이 서로 뒤섞여 있어 정리된 느낌이 들지는 않는다. 그리고 김생과 이암의 글씨는 그것이 진본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어떠한 자료도 보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해동필수에는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이 경기도 연천에서 자신을 찾아온 ‘혜’라는 스님에게 미수 특유의 고전(古篆)으로 쓰인 ‘혜스님에게 주는 시[贈慧師韻]’[시라기 보다는 문장의 서문에 가깝다]라든가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1624~1701]이 당나라 시인 유우석(劉禹錫)[772~842]과 왕유(王維)[699~759]의 시를 독특한 팔분체(八分體)로 쓴 작품 등이 실려 있어서 문화재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