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6352 |
---|---|
한자 | 馬山良村里友于亭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1길 34-17[양촌리 111-1]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엄경흠 |
현 소재지 | 마산 양촌리 우우정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1길 34-17[양촌리 111-1]![]() |
---|---|
성격 | 누정|재실 |
양식 | 팔작지붕 한옥 |
정면 칸수 | 4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초계 변씨 |
관리자 | 창원시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에 있는 정자 겸 재실.
마산 양촌리 우우정(友于亭)은 초계(草溪) 변씨(卞氏) 근암공(謹菴公) 변상학(卞相學)이 생전에 효행과 우애와 자선을 행하면서 살던 곳이다. 변상학은 그의 형 송강공(松岡公)과 함께 이불을 덮고 자는 등 우애가 대단히 깊었다고 한다. 변상학이 죽은 후 1940년 아들 변순섭(卞純燮)이 부친의 뜻을 기려 ‘우우정’이라고 이름하였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의 양촌 마을 뒤편 산자락 아래에 있다.
원래는 기거하기 위한 주택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던 것을 1940년 아들 변순섭에 의해 우우정이라는 정자로 그 기능이 변하였다. 재실로도 활용된다.
마산 양촌리 우우정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마산 양촌리 우우정은 현재 소종중의 후손들이 선조를 제향하는 재실로 활용되고 있다. 정자의 오른쪽에 ‘근암(謹庵)’, 왼쪽에는 ‘송강(松岡)’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어 형제의 우애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변순섭의 칠언 율시 한 수가 전하나, 기문이나 상량문은 한 편도 남아 있지 않다.
마산 양촌리 우우정은 부친의 우애를 기리고 효행의 뜻을 더하기 위한 건축물로서, 당시 건축 양식 연구의 측면에서도 가치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