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11135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전우선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 「가자 가자 감나무야」 『우리 고장 문화유산』에 수록 |
---|---|
채록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가창권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성격 | 동요|민요 |
기능 구분 | 비기능요 |
형식 구분 | 독창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동요.
2007년 진해·웅천 향토 문화 연구회에서 발행한 『우리 고장 문화유산』의 422쪽에 실려 있다. 이는 진해·웅천향토문화연구회 황정덕이 1980년대에 채집하여, 『진해 시사』[2006]에 발표하고, 그 때의 것을 다시 실은 것이다.
4·4조가 주를 이룬 친숙한 리듬으로 반복되는 음의 구성과 잘 어울려 친근감을 자아낸다. 말잇기를 연상시키는 언어 유희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노래 구조이다. 「가자 가자 감나무야」는 독창의 형식이 강하나 제창도 가능하다.
가자가자 감나무야
오자오자 옷나무야
사리밑에 옷나무야
니가없어 못놀겠다.
내엘모래 장에가서
돌문둥이하나 얻어줄게.
「가자 가자 감나무야」는 언어 유희가 뛰어나며, 말놀이로 그들의 감정을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