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새야 새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139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우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새야 새야」 『우리 고장 문화유산』에 수록
채록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가창권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격 민요|동요
기능 구분 기능요
형식 구분 독창 또는 제창
박자 구조 4음절 4음보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에서 전봉준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동요.

[개설]

「새야 새야」는 아이들에게 널리 불리는 동요인데, 동학 농민 운동의 주동자인 녹두장군 전봉준(全琫準)[1853~1895]의 실패를 슬퍼하고 민중의 절망을 담은 민요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가사는 거의 동일하다. 「새야 새야」가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몇 가지 설이 있다.

먼저,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에 일본군이 푸른색 군복을 입어 파랑새는 일본군을 뜻하며, 전봉준이 녹두장군이라 불리었던 점을 보아 녹두밭은 전봉준을 상징하고, 청포장수는 백성을 상징한다는 것이 유력하다. 또 다른 설로는 팔왕설이 있는데, 전봉준은 전(全)자를 파자하여 팔(八)왕(王)이라고도 불리었고, 이것이 변형되어 파랑새가 되었다는 것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7년 진해·웅천 향토 문화 연구회에서 발행한 『우리 고장 문화유산』의 423쪽에 실려 있다. 이는 진해·웅천 향토 문화 연구회 황정덕이 1980년대에 채집하여, 『진해 시사』[2006]에 발표하고, 그 때의 것을 다시 실은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전통적인 4음절 4음보의 율격으로 정형성을 띠고 있다. 내용에 있어 소박한 제제를 인과 관계의 순서대로 나열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하게 반복되는 리듬의 구성과 잘 어울려 친근감을 자아낸다. 느린 가락은 읊조리기 쉬우면서도 슬픈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다.

[내용]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남게   앉지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전봉준은 동학에 들어가 최시형(崔時亨)[1827~1898]의 문하에서 접장(接長)으로 있다가, 1894년 동학 혁명을 일으켜 ‘녹두장군’으로 불리며 한때 맹위를 떨쳤으나 관군(官軍)과 일본군의 무력에 패하여 그 이듬해에 처형되었다. 「새야 새야」는 이러한 동학 농민 운동의 실패를 한탄하고 민중의 실망을 우의적(愚意的)으로 나타낸 노래이기에 가락이 구슬프다.

[현황]

「새야 새야」는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퍼진 전래 민요로 노래 내용에 대한 배경과 가사는 거의 차이가 없으며, 지방마다 음이나 가락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의의와 평가]

「새야 새야」동학 농민 운동 정신이 진해 지역에서도 많은 사람들의 지지와 호응을 받고 있었음을 반증하고 있다. 이 노래는 이후 1960~1970년대까지도 어린 아이들에게 전승되어 불려졌다. 지금은 단순하면서도 서정적인 노래의 선율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며 다양한 음악들로 변주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아울러 전세환님의 댓글에 개인정보인 휴대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운영 정책에 따라 해당 댓글을 삭제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2017.08.01
관** 디지털창원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세환 님께서 삭제요청을 하신 '전봉준은 전(全)자를 파자하여 팔(八)왕(王)이라고도 불리었고'의 내용은 천안전씨의 유래와는 무관하게 '새야 새야'라는 노래의 유래에 대한 속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민간에서 전해지던 이야기를 소개한 내용이므로 노래의 유래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2017.08.0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