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11147 |
---|---|
한자 | 明堂說話 |
이칭/별칭 | 명당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심화선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3년 - 「명당 설화」 『얼』에 수록 |
---|---|
관련 지명 | 천자봉 -
경남 창원시 진해구
![]() |
성격 | 전설 |
주요 등장 인물 | 이씨|주씨|반인반수|풍수지리가 |
모티프 유형 | 명당|반인반수|건국 신화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설화.
『얼』[진해 문화원, 1983]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함경도에 살던 이씨(李氏)라는 사람이 자기 선대의 좋은 묘지를 찾기 위하여 팔도강산을 돌아다니던 끝에 찾은 명산이 천자봉(天子峯)이었다.
천자봉(天子峯)에서 남쪽 만장대(萬丈臺)를 관망하니 그 줄기가 바다에 이르러 그치고, 만장대(萬丈臺)에서 모란포(牧丹浦) 연포(蓮浦) 부도(釜島)로 이어져 만장대(萬丈臺) 끝 모란봉에 와서 바다를 보니 바닷속을 알 수가 없어 실망을 하고 서성거리고 있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상반신은 사람이고 하반신은 고기 모양을 한 괴물이 나타나기에 말을 건네니 그 괴물은 물속에 두 바위굴이 있기에 그 속에서 놀다가 나온다고 했다. 이씨(李氏)는 곧 풍수에게 물으니 두 개의 굴 가운데 바른 편은 천자가 날 지세이고 다른 한편은 왕이 날 지세라고 하였다. 이씨(李氏)는 하인을 시켜 선친의 유골을 바른 편 굴속에 묻고 오라고 시켰다.
그러나 하인은 욕심이 생겨 자기 아버지의 유골을 바른 편 굴속에 묻고 이씨(李氏)의 아버지 유골은 왼 편에 묻었다. 이래서 뒤에 하인 주(朱)씨 가문에서 주천자(朱天子)가 나와 명(明)나라 태조(太祖)가 되었으며 이(李)씨 문중에서는 이성계(李成桂)가 나서 이씨 조선(李氏朝鮮)의 왕이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명당 설화」 이야기는 대표적인 다음과 같은 모티프를 지니고 전개되고 있다. 우선은 ‘명당’ 모티프이며 두 번째는 ‘반인반수’ 모티프이다. 상반신은 사람이고 하반신은 물고기 모양을 한 괴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진해 지역의 설화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소중한 유형의 이야기이다. 또한 이 이야기는 ‘건국 신화’의 요소도 나타나는데 이야기 말미의 주씨 가문에서 주천자가 탄생하고, 이씨 문중에서 이성계가 탄생하여 조선을 건국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