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11161 |
---|---|
이칭/별칭 | 「장정을 부르던 새롱 바위」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정헌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장정을 부르던 새롱 바위」 『진해 스토리』에 수록 |
---|---|
관련 지명 | 새롱 바위 -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미상] |
성격 | 전설 |
주요 등장 인물 | 새롱|촌장 |
모티프 유형 | 지명 유래담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전승 되는 전설.
『진해 스토리』[진해시, 2008]에 「장정을 부르던 새롱 바위」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웅천 어은동에서 국도를 따라 고개 위 산릉에 오르면 높이 2m, 넓이 3m 정도 되는 바위가 보이는데 이것을 일러 ‘새롱 바위’라고 하며 여기에는 조선 시대 역 제도에 따라 얽힌 이야기가 전한다.
웅천 남문동에는 보평역이 있었다. 밤에라도 급히 물자가 있으면 보평역을 출발하여야 하나 새롱[역졸]이 혼자 깊은 밤길을 걷는 것은 위험한 일이었다. 간혹 산적이나 산짐승을 만나는 일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을에서 호위하는 장정이 한 사람씩 동행을 하도록 제도화 되었다.
보평역을 출발하여 안민역으로 가는 길은 어은동과 장천동에서 장정이 나가도록 되어 있었다. 새롱이 보평역을 출발하여 이 바위에 와서 어은동을 내려다 보고 “어으이, 조니 장정 내소오.”하고 어은동 조니[촌장]를 보고 소리쳐 부르면 촌장은 그 날의 차례가 된 장정을 찾아 보내어 호위를 시켰다. 그러면 장천동까지 가서 장천동 장정에게 인계를 하고 돌아왔다. 혼자 돌아오던 어은동 장정은 때로 산짐승이나 산적에게 피해를 입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새롱 바위 전설」의 주요 모티프는 새롱 바위의 ‘지명 유래담’이다. 새롱 즉 역졸이 이 바위에서 어은동 촌장을 불러 호위 장정을 준비하도록 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