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11272 |
---|---|
한자 | -傳說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정헌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7년 - 「땅바위 전설」 『마산의 문화유산』에 수록 |
---|---|
관련 지명 | 땅바위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 |
성격 | 전설 |
주요 등장 인물 | 없음 |
모티프 유형 | 지명 유래담|설명적 전설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에 전승되는 전설.
『마산의 문화유산』[마산시, 1997]에 수록되어 있는데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정학수[당시 75세]의 구술이다. 그러나 구술 연대는 자세하게 나와 있지 않아 더 이상의 정보는 알 수 없다.
땅바위는 구암 1동 뒷산[아기봉]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곳에는 농바위, 베틀 바위, 넓적 바위 등 크고 작은 20여 개의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땅바위의 바위와 바위 사이, 둘레 내에는 10여 명이 놀 수 있을 만큼 넓은데, 이곳에서 임진왜란 때는 피난살이를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 주위에는 여러 가지 꽃나무가 있어 봄, 가을에는 좋은 놀이터가 되며 지금은 많이 헐어 옛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다.
이곳은 마산시와 합포만, 창원시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땅바위 전설」 이야기는 본격 ‘지명 유래담’으로는 부족하다. 단지 바위 사이가 넓어 땅바위로 불렀다는 사실만을 어렴풋이 짐작만 할뿐이다. 이곳에서 피난살이, 놀이터의 장소, 조망 장소로 활용되었다는 설명적 전설이 이야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