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6367 |
---|---|
한자 | 馬山上谷里企小亭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로 17-1[상곡리 64]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엄경흠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에 있는 정자.
재령(載寧) 이씨(李氏)의 선조인 이원순(李元淳)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정자다. 정자 입구에는 ‘취성문(聚星門)’이라고 쓴 편액이 걸린 대문이 있으며, 정자인 기소정(企小亭), 뒤편의 재실인 기소재(企小齋)가 있다. 기소정의 편액은 사라졌으나 왼편에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마루가 있고, 오른편으로는 기거가 가능한 방이 있으며, 난간의 모양 또한 원래의 모습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어 이것이 기소정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재실의 용도로 쓰이면서 뒤편의 기소재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재실 건물의 오른쪽 방문 위에는 ‘소암(小庵)’이라는 편액이 있어 활용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동남 타운 아파트 뒤편 구릉에 있다.
건물 두 동 가운데 입구 쪽의 것은 전형적인 정자 형태이고, 뒤편의 것은 재실의 형태다. 따라서 앞의 것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 재실을 짓고 ‘기소재(企小齋)’라 이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지붕 건물이다.
대문도 있고 건물 두 동이 있는데, 훼손이 대단히 심하고 편액도 거의 사라졌다.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풍속인 조상 숭모를 위한 건물이다.